본문 바로가기
쇼피(Shopee)

쇼피 마케팅 센터 활용하는 방법

by 초보셀러 쇼퍼 2022. 7. 29.

 

 

초보 셀러라면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기본 전략을 알아야 합니다. 쇼피 셀러 센터에서는 마케팅 센터를 지원합니다. 마케팅 센터에서는 상품 할인가 설정, 상품 묶어서 판매하는 번들 딜 등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오늘은 쇼피에서 마케팅 센터를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에 대해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쇼피 마케팅 센터 활용하는 방법

마케팅 센터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면서도 중요한 것은 할인가 설정(Discount Promotion)입니다. 상품을 매력적으로 만들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설정한 기간 동안에 지정한 상품의 할인율을 설정할 수 있고 최대 30%까지 가능합니다. 180일까지 설정이 가능하며 연장은 불가능하지만 프로모션을 재설정하여 상품을 옮기기만 하면 손쉽게 기간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마케팅 센터에 들어가서 Create 버튼만 클릭하면 할인 프로모션을 만들 수 있고 Edit를 선택하여 상품을 추가만 하면 일정 시간이 지난 후 할인이 적용됩니다. 어렵지 않은 작업이므로 초보 셀러는 반드시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초보 셀러가 상품을 더 노출시킬 수 있는 전략

마케팅 센터에서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마케팅인 Bump라는 것이 있습니다. Bump는 최대 5개의 상품을 4시간 동안 노출시켜줍니다. 브라질 마켓에서는 1분밖에 노출이 되지 않으므로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베트남, 필리핀 마켓에서 사용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My Product에서 Bump Now를 클릭하게 되면 바로 이용 가능합니다. 광고가 붙은 상품보다는 노출이 밀려나지만 잘 팔리는 상품이 있다면 꼭 해야 하는 마케팅 전략입니다. 다음으로는 상품을 묶어서 판매할 수 있는 묶음 판매(Bundle Deal)입니다. 묶음 판매(Bundle Deal)란 리스팅 되어있는 상품을 묶어서 판매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구매자가 내상품을 클릭할 시에 하단에 노출이 되며 라벨이 부착됩니다. 이를 활용해서 다른 상품을 노출시킬 수 있으며 매출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습니다. 추천하는 묶음 판매방식은 할인율을 적용하는 방식입니다. 내 샵의 여러 상품을 구매 시 추가 할인을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판매량을 늘릴 수가 있습니다. 

 

 

구매자들과 소통하면서 판매를 하는 방법

쇼피에는 인스타그램이나 페이스북과 같이 팔로우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마케팅 센터는 나를 팔로우하는 구매자들을 위한 혜택을 만들 수가 있습니다. 이를 Follow Prize라고 합니다. 샵을 방문하는 구매자들에게 쿠폰을 줄 수 있으며 할인이나 코인 캐시백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벤트 전에 팔로우를 하고 있던 고객에게는 바우처가 발급되지 않으며 이벤트 이후에 팔로우를 하는 고객에게만 쿠폰이 지급됩니다. 팔로우 바우처의 경우에는 특정 상품을 지정할 수가 없으며 모든 상품에 적용이 됩니다. 그러므로 팔로우 바우처를 사용 시에는 반드시 마진 계산에 포함시켜야 합니다. 이러한 팔로우 바우처 이외에 일반 바우처(Voucher)도 있습니다. 일반 바우처는 특정 상품에 적용이 가능하므로 상품 마진을 관리하기에 편리합니다. 바우처가 있으면 구매자들이 더 싸게 구매를 한다는 심리적인 요소가 생기기 때문에 판매율이 더 높아집니다. 이전에 생성한 바우처는 기간이 지나면 재사용이 불가능하며 구매자가 바우처를 원한다면 새롭게 바우처를 만들면 됩니다. 

 

 

판매율을 높이는 사은품 기능 활용하기

마케팅 센터에서는 사은품을 증정할 수 있는 기능인 Add-On Deal이 있습니다. Add-On Dael은 판매자가 특정 상품을 할인하거나 사은품을 구매자에게 증정함으로써 구매를 유도할 수 있는 마케팅 기능 중에 하나입니다. 사은품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은품 상품도 리스팅 되어 있어야 합니다. 저는 마스크나 커피와 같은 제품을 사은품으로 등록하고 있습니다. 사은품의 문화는 동남아시아에서는 흔치 않기 때문에 구매자들은 좋아하는 편이며, 그만큼 판매율이 더 높아지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매출이 없는 초보 셀러에게는 반드시 해야 하는 기능이라고 생각합니다.

댓글